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correlation
- login crawling
- youtube data
- UDF
- 유튜브 API
- spark udf
- GenericGBQException
- chatGPT
- TensorFlow
- API Gateway
- GCP
- session 유지
- subdag
- tensorflow text
- BigQuery
- flask
- 상관관계
- 공분산
- airflow subdag
- top_k
- Airflow
- gather_nd
- XAI
- requests
- integrated gradient
- Retry
- Counterfactual Explanations
- grad-cam
- hadoop
- API
- Today
- Total
목록Python (37)
데이터과학 삼학년

파이썬 파일을 실행시킬때 외부 파라미터를 받아서 실행시키는 것은 거의 모든 프로젝트에서 사용되고 있다. 파라미터에 스트링이나 integer, float은 자유롭게 받지만.. 리스트를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아래 코드를 참고해서 사용하면 된다!!!!!! list 자체를 string으로 받은 후에 ast.literal_eval 을 이용하여 list type으로 다시 만들어 주는 방법이다. import argparse import ast def arg_as_list(s): v = ast.literal_eval(s) if type(v) is not list: raise argparse.ArgumentTypeError("Argument \"%s\" is not a list" % (s)) return v def..
파이썬 First class function에 대해 알아보자. python은 함수 자체를 변수로 할당할 수 있다. 함수 자체를 인자 (argument) 로써 다른 함수에 전달하거나 다른 함수의 결과값으로 리턴 할수도 있고, 함수를 변수에 할당하거나 데이터 구조안에 저장할 수 있는 함수이다. 결국 클로저를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이 되는 개념이라고 보면 된다. 간단한 코드로 알아보자 # -*- coding: utf-8 -*- def square(x): return x * x print(square(5)) f = square print(square) print(f) print(f(5)) ======== ## 저장된 메모리 주소값 25 함수 자체를 f라는 변수에 할당한 후 호출한 코드이다. 이렇게 함수를 변수로 ..
Magic method 파이썬 class 안에 메서드를 입력할때 일명 던더(더블언더바) 함수를 붙이는 경우가 있다. 가령 __init__ , __str__ 등이 그렇다. 여기서 던더함수는 가장 대표적인 매직 메서드이다. 즉 던더함수를 쓰면 어떤 정해진 틀에 해당 함수를 정의한다. 라고 보면 된다. 예를 들어 __init__ : 해당 class명으로 instance를 만들때 초기 설정값 __str__, __repr__ : print() 함수를 쓸 때 호출할 값 설정 이다. 아래 코드처럼 __init__ 을 사용하여 class의 instance를 만들때 넣어줄 초기값을 지정하는 것과 같다. 즉, 함수명은 __init__ 으로 지정하였지만 실제 해당 함수를 호출할때는 클래스명() 로 정의한 함수명으로 호출하지..
파이썬에서 부모클래스를 상속받는 서브 클래스의 개념에 대해 알아본다. 일단 class를 만드는 가장 큰 목적은 붕어빵을 찍어내는 틀처럼 같은 속성을 가지는 데이터 타입 생성에 대해 반복되는 코드를 줄이고, 필요에 따라 간략한 수정을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즉 class를 이용하면 불필요한 재활용 코드를 줄이고, 보다 깔끔하고, 명확하게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 # -*- coding: utf-8 -*- class Unit(object): def __init__(self, rank, size, life): self.name = self.__class__.__name__ self.rank = rank self.size = size self.life = life def show_status(self): pr..
python class를 사용할 때, 가장 헷갈리는 것이 Instance method, Class method, Static method 의 사용 의도(?) 차이이다. 이번에는 위 3가지 method의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한다. Instance method class에서 instance를 만들고, instance를 통해서만 호출이 되는 method를 Instance method라고 한다. 흔히 class 안에서 만들어준 함수를 의미한다. # -*- coding: utf-8 -*- class Employee(object): raise_amount = 1.1 #1 연봉 인상율 클래스 변수 def __init__(self, first, last, pay): self.first = first self.last ..
문자열 포맷팅 방식에 대해 알아보고자한다. 문자열 포맷팅이란 '나는 000 입니다.' 라는 것을 출력할때 '000'에 들어갈 단어들이 매번 바뀔수 있다. 이를 코드로 유연하게 바꿔주고 싶을때 주로 사용한다. % operator name = 'world' 'hello %s' %name -> hello world 'hello %% %s' %name -> hello % world 문자타입은 %s, 정수타입은 %d, 실수타입은 %f 등...문자열에 들어갈 데이터의 타입에 맞게 %로 지정해주고 써야한다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때 문자열에 %를 넣고 싶다면 %%로 써야하는 등 번거로움이 있다. str.format name = 'world' 'hello {}'.format(name) -> hello world 문자를 ..
@property 라는 데커레이터를 쓰는 것에 대해 알아본다. 먼저 @property class 내에서 getter와 setter 를 좀 더 편하게 적용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getter 와 setter 는 무엇인가? class Person: def __init__(self): self.__age = 0 def get_age(self): # getter return self.__age def set_age(self, value): # setter self.__age = value james = Person() james.set_age(20) print(james.get_age()) 위 Person class에서 매개변수의 값을 받아오는 메서드는 get_age, 매개변수에 값을 세팅하는 것이 set_..

모듈과 패키지 import를 통해서 불러와 쓰는 것인데. 이 두가지의 차이가 무엇인지 알아보고, 모듈을 개발할때 if __name___ =='__main__': 을 쓰는 이유에 대해 알아본다. 모듈(module)은 각종 변수, 함수, 클래스를 담고 있는 파일이고, 패키지(package)는 여러 모듈을 묶은 것입니다. 파이썬을 설치할 때 다양한 모듈과 패키지가 기본으로 설치됩니다. 만약 기본 모듈과 패키지로 부족하다면 다른 사람이 만든 유명 모듈과 패키지를 설치해서 쓸 수도 있습니다. 참고 | 모듈, 패키지, 라이브러리 파이썬을 배우다 보면 모듈, 패키지, 파이썬 표준 라이브러리와 같은 용어를 접하게 되는데 서로 비슷한 개념이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모듈: 특정 기능을 .py 파일 단위로 작성한 것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