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integrated gradient
- youtube data
- grad-cam
- flask
- requests
- GenericGBQException
- Counterfactual Explanations
- 유튜브 API
- API
- subdag
- BigQuery
- gather_nd
- top_k
- 상관관계
- login crawling
- Airflow
- tensorflow text
- hadoop
- correlation
- spark udf
- session 유지
- 공분산
- airflow subdag
- Retry
- TensorFlow
- GCP
- API Gateway
- UDF
- XAI
- chatGPT
- Today
- Total
목록Computer Science (36)
데이터과학 삼학년

네트워크 원리 - 1. 웹 브라우저가 메시지를 만든다. HTTP 리퀘스트 메시지를 작성한다. 웹 서버의 IP 주소를 DNS 서버에 조회한다 전 세계의 DNS 서버가 연대한다. 프로토콜 스택에 메시지 송신을 의뢰한다. 2. 웹 서버의 IP 주소를 DNS서버에 조회한다. HTTP 메시지를 만들면 이것을 OS에 의뢰하여 액세스 대상의 웹 서버에게 송신함 OS에 송신을 의뢰할때는 도메인명이 아니라 IP주소로 메시지를 받을 상대를 지정함 즉, 도메인명에서 IP주소를 조사하는 동작이 이루어짐TCP/IP 인터넷이나 사내 LAN은 TCP/IP의 개념에 기초하여 만들어짐 00동 00번지라고 있을때, 동에 해당하는 것이 서브넷, 번지에 해당하는 것이 컴퓨터 번호 동에 해당하는 것 : 네트워크 번호 번지에 해당하는 것 : ..

네트워크 원리 - 1. 웹 브라우저가 메시지를 만든다. HTTP 리퀘스트 메시지를 작성한다. 웹 서버의 IP 주소를 DNS 서버에 조회한다 전 세계의 DNS 서버가 연대한다. 프로토콜 스택에 메시지 송신을 의뢰한다. 1. HTTP 리퀘스트 메시지를 작성한다. URL로부터 모든 통신은 시작됨 http:, file:, ftp:, mailto: 등 액세스하는 방법을 나타냄 액세스 대상이 웹서버이면 http라는 프로토콜을 이용, file다운/업로드면 ftp 이용 프로토콜 : 통신동작의 규칙을 정한 것 [1] 브라우저는 먼저 URL을 해독한다. 브라우저가 처음 하는 것은 웹서버에 보내는 리퀘스트 메시지를 작성하기 위해 URL을 해독하는 것 예) http://www.lab.cyber.co.kr/dir1/file1...

DFS(Depth First Search) : 깊이 우선 탐색 - 깊이(종)로 내려가면서 탐색 --> 전수조사 - Stack 의 개념을 사용하여 구현 > [1,2,3,4] --> [1,2,3] --> [1,2] --> [1] > [1,5,6,7] --> [1,5,6] --> [1,5] --> [1,5,8] > [1,9,10] BFS(Breadth First Search) : 너비 우선 탐색 - 너비(횡)로 내려가면서 탐색 --> 일부조사만의 끝날 수 있는 경우 - Queue 의 개념을 사용하여 구현 > [1] > [2,3,4] --> [3,4,5] --> [4,5,6,7] --> [5,6,7,8] > [6,7,8,9] --> [7,8,9,10] 참고 : coding-factory.tistory.com/6..

컴퓨터란 컴퓨터의 정의 전자회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 방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계산 입력,제어,기억,연산,출력 기능 컴퓨터가 하는 일 복잡한 계산(미적분, 통계 등) 초정밀 그래픽구현 (배그같은) 네트워크 통신 컴퓨터의 역사 - 고대 계산 도구로서 처음은 주판 기원전 약 3000년전 고대 메소포타미아에서 사용 → 17세기에도 주판 이용 컴퓨터의 역사 - 중세 1642년 프랑스 수학자 파스칼이 톱니바퀴를 이용한 계산기 발명 최초의 기계식 계산기 덧셈, 뺄셈 가능 1671년 독일의 라이프니츠가 이를 개량해 곱셈, 나눗셈도 가능한 것 발명(2진법) 컴퓨터의 역사 - 근현대 19세기 중반 영국의 찰스 배비지가 차분엔진 발명 현태 컴퓨터의 개념을 제시 → 차분엔진 프로그램과 데이터로 구성된 입력은 천..

stack 2개를 이용하면 queue를 만들 수 있다. stack은 LIFO (Last In First Out) queue 는 FIFO (First In First Out) 즉, stack을 두개를 이용해서 빈 스택에 다른 스택을 담고 다시 빼는 식으로 queue를 만들 수 있는 것이다. 구현 코드 예시 # stack 2개로 queue 만들기 class Stack: def __init__(self): self.stack = [] def __repr__(self): return f"{self.stack}" def push(self,item): self.stack.append(item) def pop(self): return self.stack.pop() def is_empty(self): if len(se..
git clone을 일반적으로 해오면 clone하는 repository 명의 폴더안에 해당 파일들이 들어온다. 예를 들어 git clone git@00.00.00.000:kimbab.git 이라면 kimbab이란 폴더가 생성되고 그안에 코드들이 들어있게 된다. 하지만 git clone을 하여 abc라는 폴더안에 kimbab레파지토리에 있는 코드들만 가져오고 싶다면 git clone git@00.00.00.000:kimbab.git /abc ## 현재 폴더가 abc 라면 git clone git@00.00.00.000:kimbab.git ./ 이렇게 해주면 된다. 간혹 아래와 같은 error가 나는 경우가 있는데 fatal: destination path '.' already exists and is no..
[퍼옴글] http://jsonobject.tistory.com/246 Java, 아스키코드(ASCII), 유니코드(Unicode), UTF-8 설명 아스키코드? 유니코드가 뭐지? 컴퓨터가 처음 발명되었을 때 표현 가능한 문자는 128개였다. 이를 ASCII 코드라고 한다. 영어 알파벳과 통화를 포함한 여러 기호를 표현할 수 있었기에 미국을 중심 jsonobject.tistory.com 아스키코드? 유니코드가 뭐지? 컴퓨터가 처음 발명되었을 때 표현 가능한 문자는 128개였다. 이를 ASCII 코드라고 한다. 영어 알파벳과 통화를 포함한 여러 기호를 표현할 수 있었기에 미국을 중심으로 한 영어권에서는 사용하는데 아무 문제가 없었다. 컴퓨터가 보다 대중화되면서 대부분의 서유럽 언어의 알파벳을 추가하여 25..